교육이슈
한국교육리더십센터는 2000년 출범한 청소년/학부모/교사/학교 대상 교육 전문 기업으로
세계적으로 검증된 리더십/코칭/교수법/시간관리 등 성과향상 프로그램을 제공 합니다.
임태희표 에듀테크 '하이러닝', 도민 62% "학습격차 해소 기대"
작성자
편집자
작성일
2024-10-10 11:03
조회
644
경기도교육청 개발 인공지능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
도입 1주년 여론조사서 응답자 53% '잘하고 있다'
서비스 교과목 확대 '찬성' 62%로 '반대' 25%에 그쳐[수원=이데일리 황영민 기자] 민선 5기 경기도교육청이 도입한 인공지능(AI)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 ‘하이러닝’에 대한 경기도민의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 최근 도교육청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2%가 ‘학습격차 해소에 효과가 있을 것’이라고 답하면서다.
7일 경기도교육청은 경기도민 1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 같은 내용의 ‘에듀테크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’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.
경기도교육청은 하이러닝을 개발해 2023년 9월 162개교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하고, 올 9월 현재 2470개교로 확대 운영하고 있다. 또 도내 모든 학교에 1인 1스마트기기를 100% 보급했다.
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‘교사와 학생은 더 가깝게, 학생의 배움은 더 풍성하게’라는 청사진을 제시해 에듀테크 활용 학생 맞춤형 교육 실현을 위한 다각적 노력을 기울였다.
이번 여론조사에서 하이러닝 정책에 대한 평가로는 도민의 53%가 ‘잘하고 있다’고 평가했고, 특히 학생들의 학습격차 해소 효과성에 대해서는 62%가 긍정적으로 답했다. 또한 하이러닝 서비스 교과목 확대에는 찬성 의견이 61%로 반대보다 25%나 우세했다.
1인 1스마트기기 보급 사업 대한 평가로는 도민의 59%가 ‘잘하고 있다’고 평가했고, 학습자료 접근성과 미래 역량 향상 효과성에 대해 68%가 긍정 응답을 했다.
운영 안정화를 위해서는 △다양한 디지털 교수학습 콘텐츠 구축 및 개발(22%) △스마트기기 과의존 예방 교육(21%) △디지털 교수학습 관련 교사의 역량 개발(15%) △내실 있는 유지관리 방안 마련(15%)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.
인공지능 기반 학생 맞춤형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도민의 34%가 ‘학생의 올바른 디지털 시민 의식이 가장 중요하다’고 인식했고, ‘교사의 디지털 활용 수업 역량’(28%),‘학교의 안정적인 디지털 인프라 환경’(25%)도 필요하다고 응답했다.
김태석 경기도교육청 미래교육담당관은 “도민의 긍정 평가에 부응해 ‘하이러닝’을 활용한 학생 맞춤형 교육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”며 “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서비스 확대와 함께 스마트기기 과의존 예방 교육 등 디지털 시민교육 강화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”고 말했다.
한편 하이러닝 도입 1주년 앞두고 한국리서치가 경기도교육청 의뢰로 실시한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 9월 20일부터 24일까지 5일간 만 19세 이상 경기도민 1200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면접조사 방식(95%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±2.83%p)으로 진행됐다.
도입 1주년 여론조사서 응답자 53% '잘하고 있다'
서비스 교과목 확대 '찬성' 62%로 '반대' 25%에 그쳐[수원=이데일리 황영민 기자] 민선 5기 경기도교육청이 도입한 인공지능(AI)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 ‘하이러닝’에 대한 경기도민의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 최근 도교육청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2%가 ‘학습격차 해소에 효과가 있을 것’이라고 답하면서다.
|
경기도교육청은 하이러닝을 개발해 2023년 9월 162개교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하고, 올 9월 현재 2470개교로 확대 운영하고 있다. 또 도내 모든 학교에 1인 1스마트기기를 100% 보급했다.
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‘교사와 학생은 더 가깝게, 학생의 배움은 더 풍성하게’라는 청사진을 제시해 에듀테크 활용 학생 맞춤형 교육 실현을 위한 다각적 노력을 기울였다.
이번 여론조사에서 하이러닝 정책에 대한 평가로는 도민의 53%가 ‘잘하고 있다’고 평가했고, 특히 학생들의 학습격차 해소 효과성에 대해서는 62%가 긍정적으로 답했다. 또한 하이러닝 서비스 교과목 확대에는 찬성 의견이 61%로 반대보다 25%나 우세했다.
|
운영 안정화를 위해서는 △다양한 디지털 교수학습 콘텐츠 구축 및 개발(22%) △스마트기기 과의존 예방 교육(21%) △디지털 교수학습 관련 교사의 역량 개발(15%) △내실 있는 유지관리 방안 마련(15%)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.
인공지능 기반 학생 맞춤형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도민의 34%가 ‘학생의 올바른 디지털 시민 의식이 가장 중요하다’고 인식했고, ‘교사의 디지털 활용 수업 역량’(28%),‘학교의 안정적인 디지털 인프라 환경’(25%)도 필요하다고 응답했다.
김태석 경기도교육청 미래교육담당관은 “도민의 긍정 평가에 부응해 ‘하이러닝’을 활용한 학생 맞춤형 교육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”며 “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서비스 확대와 함께 스마트기기 과의존 예방 교육 등 디지털 시민교육 강화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”고 말했다.
한편 하이러닝 도입 1주년 앞두고 한국리서치가 경기도교육청 의뢰로 실시한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 9월 20일부터 24일까지 5일간 만 19세 이상 경기도민 1200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면접조사 방식(95%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±2.83%p)으로 진행됐다.
전체 81
번호 | 제목 | 작성자 | 작성일 | 추천 | 조회 |
81 |
"자기주도 진로 탐색" 군위교육지원청, 24~26일 '비포스쿨'
편집자
|
2025.02.26
|
추천 0
|
조회 152
|
편집자 | 2025.02.26 | 0 | 152 |
80 |
'OECD 교육 2030 키워드'
편집자
|
2025.02.10
|
추천 0
|
조회 290
|
편집자 | 2025.02.10 | 0 | 290 |
79 |
잿더미 속 홀로 '멀쩡'…LA 산불 버틴 집, 어떻게 지었길래
편집자
|
2025.01.14
|
추천 0
|
조회 290
|
편집자 | 2025.01.14 | 0 | 290 |
78 |
서울시교육청, ‘국회와 함께하는 서울학생 사회참여 한마당’ 9일 개최
편집자
|
2024.11.15
|
추천 1
|
조회 503
|
편집자 | 2024.11.15 | 1 | 503 |
77 |
임태희표 에듀테크 '하이러닝', 도민 62% "학습격차 해소 기대"
편집자
|
2024.10.10
|
추천 0
|
조회 644
|
편집자 | 2024.10.10 | 0 | 644 |
76 |
영상볼 때 '이 습관'… 지루함 더 악화시켜
편집자
|
2024.09.30
|
추천 0
|
조회 670
|
편집자 | 2024.09.30 | 0 | 670 |
75 |
교과서 살펴보는 관람객
편집자
|
2024.09.25
|
추천 0
|
조회 635
|
편집자 | 2024.09.25 | 0 | 635 |
74 |
경북교육청, 공동 수업으로 소규모 학교 교육환경 개선
편집자
|
2024.04.22
|
추천 0
|
조회 1273
|
편집자 | 2024.04.22 | 0 | 1273 |
73 |
남녀공학 전환 서울 학교에 7억 지원
편집자
|
2024.04.02
|
추천 0
|
조회 1360
|
편집자 | 2024.04.02 | 0 | 1360 |
72 |
교육부, 성인대상 생활밀착형 디지털 문해교육 실시
편집자
|
2024.01.30
|
추천 0
|
조회 1754
|
편집자 | 2024.01.30 | 0 | 1754 |